道, 민선7기 공공 일자리 44만8천개 일자리 창출 추진
道, 민선7기 공공 일자리 44만8천개 일자리 창출 추진
  • 소유한
  • 승인 2018.12.06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청 전경./사진=경기도
경기도청 전경./사진=경기도

민선7기 경기도가 공공.공익적 민간 일자리 창출 등 맞춤형 일자리창출 정책을 통해 약 44만8000개의 일자리를 창출에 나선다.

특히 도와 시군의 수평적 협치시스템으로 '일자리 정책 마켓' 등 일자리 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 이목이 집중된다.

박덕순 경기도 노동일자리정책관은 6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민선7기 새로운 경기 일자리창출 종합계획(2018~2022)'을 발표했다.

이는 이재명 지사가 지난 8월 20일 열린 긴급일자리대책회의 당시 강조한 사항이기도 하다.

당시 이 지사는 "경제의 전체적 흐름은 민간이 하는 것이고 공공은 민간경제가 합리적이고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며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 중 실현 가능한 작은 정책들을 찾아야 한다. 작은 영역을 세부적으로 나눠 일자리를 발굴해 내는 정성(精誠) 행정이 필요하다"고 당부한 바 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도는 '더 좋은 일자리 많은 새로운 경기'라는 비전 아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익적 일자리 창출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 일자리생태계 구축 ▲시군과 함께 만드는 일자리 정책마켓을 새로운 일자리 창출 전략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①공공 및 공익적 민간 일자리 창출 ②미래 일자리 창출 ③애로처리 통한 일자리 창출 ④미스매치 해소 ⑤일자리 창출 위한 공공인프라 조성 ⑥도시재정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세부 6대 분야를 정했다.

도는 이 같은 6대 분야에 맞춰 67개의 중점추진과제와 540개의 실국자체 과제 등 총 607개 과제를 추진, 민선 7기 동안 약 44만8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내겠다는 계획이다.

'공공 및 공익적 민간 일자리'에는 먹거리 안전관리사 농-농케어, 항포구지킴 등 392개(중점44개, 실국348개), '미래 일자리'는 민관 협력 클라우드 서비스 등 61개(중점5개, 실국56개), '애로처리'는 기업규제해소 등 27개(중점3개, 실국24개), '미스매치'는 장기현장실습교육 브리지 프로젝트 등 56개(중점7개, 실국49개), '공공인프라'는 화성국제테마파크 등 62개(중점6개, 실국56개), '도시재정비'는 경기도형 도시재생사업 등 9개(중점2개, 실국7개) 등의 과제가 담겼다.   

무엇보다 버스운수종사자 양성, 행복마을관리소 설치, 체납관리단 운영 등과 같이 안전·공정.정의 등 사회적 가치 실현과 공익적 일자리 창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사업들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 같은 '민선7기 경기도 일자리창출 종합계획'의 성공을 위해 도는 종합 컨트롤 역할을 할 '새로운 경기 일자리 대책본부'를 구축·운영하기로 했다.

대책본부는 행정2부지사를 단장, 경제노동실장을 부단장으로 하며, 일자리사업 관련 실국장과 도 공공기관 대표 등이 구성원으로 참여하게 된다.

대책본부는 정기 또는 수시회의를 열어 일자리 창출에 효과적인 신규 과제를 각 실국·공공기관 등과 협의를 통해 발굴하고, 일자리 정책과제 추진 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역할을 맡는다.

아울러 본부 내에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평가위원회'를 둬 분야별 사업과제의 추진상황을 점검한다.

여기에 일자리 창출의 수평적 협력파트너인 시군과 '도-시군협의체'를 만들어 중앙-도-시군 간 일자리 관련 정책의 조율 및 협의를 담당한다.

'시군협의체'를 남부와 북부, 서부와 동부 등 4개 권역으로 구분해 권역별로 분기당 1회씩 개최할 예정이며, 연말에는 모든 권역이 함께 참여하는 종합회의를 열어 한해 성과와 총괄적인 점검을 벌인다.

이와 함께 도는 일자리 정책의 효율적 수행과 효과 극대화 차원에서 도와 31개 시군 일자리업무부서가 일자리 분야 정책 협의·거래 시스템인 '일자리 정책 마켓'을 운영하기로 했다.

새로 도입될 '일자리 정책마켓'은 지역별 수요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시.군에서 제안하면 도가 사업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현장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박 정책관은 “중점추진과제는 대책본부 차원에서 중점관리하고, 실국자체과제는 실국장 책임아래 관리하는 대신 중점과제로 전환 가능한 자체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등 과제별 구분 관리를 통해 효율화를 꾀할 것”이라며 “연차별 점검 및 보완 등을 통해 실제 도민들의 삶이 변화하는 일자리창출 계획이 시행되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